닫기

국학강좌

2025년 제1회 국학강좌(2025. 2. 21) “읍루(挹婁), 물길(勿吉), 말갈(靺鞨), 발해(渤海), 여진(女眞), 금(金)의 한국고대사 관련성에 대하여” 안내문
국학연구소 2025-01-30 23:56:47
첨부파일

2025년 제1회 국학강좌

읍루(挹婁), 물길(勿吉), 말갈(靺鞨), 발해(渤海), 여진(女眞), ()의 한국고대사 관련성에 대하여

19221월 대한민국임시정부가 출간한 역사교과서인 배달족역사는 부여-고구려-발해를 주족(主族)으로 하고, 서쪽으로 동호-선비-거란-요와 동쪽으로 읍루-물길-말갈-발해-여진-금을 모두 우리의 혈족(血族)으로 포함시킨 민족사(民族史)를 서술하였습니다.

202551일부터 5일까지 45일 동안 진행하는 <2025년 국학 역사답사>배달족역사에 서술된 동쪽 지역의 읍루-물길-말갈-발해-여진-금 등의 역사유적을 살펴볼 기회입니다. 역사에 관심있는 분들의 많은 참여를 바랍니다.

202551일의 국학답사를 앞두고, 답사지역에 대한 자료를 나누며, 또 함께 학습하는 자리를 <국학강좌>라는 형식으로 마련합니다.

오는 221일 진행하는 <2025년 제1회 국학강좌>에서는 읍루-물길-말갈-발해-여진-금으로 이어지는 역사와 문화의 기원에 대해 함께 얘기해보고자 합니다.
읍루는 일찍이 부여에 종속되어 있다가, 고구려에 정복되고, 말갈 단계에서 고구려의 중요 지방세력이 되었다가, 698년 발해를 세웁니다. 부여-고구려-발해를 중심에 세운 <배달족역사>에서 읍루-물길-말갈-발해-여진-금 등의 역사를 우리 민족사의 한 부분으로 설정한 이유입니다.

<2025년 제1회 국학강좌>는 다음과 같이 진행합니다. 역사에 관심있는 연구자들의 많은 참여를 청합니다.  

1. 일시 : 2025221일 금요일 18
2. 장소 : 대한사랑 강의실(서울시 영등포구 당산동480, 당산SKV1센터 E1005. 지하철 9호선 혹은 2호선 11번 출구에서 도보로 8분 거리)
3. 내용 :
   1) 읍루의 역사 및 문화의 기원
   2) 읍루-물길-말갈-발해-여진-금의 부여 및 고구려 관련성
   3) 읍루-물길-말갈-발해-여진-금의 변천과 역사유적 지도 작성
     *위의 내용을 1명의 발제자가 간단하게 설명하고, 참여자들이 함께 토론하는 형식으로 진행.
4. 참고 사항 :
   1) 강좌 관련 자료는 당일 현장에서 나눔
   2) 1922년 대한민국임시정부에서 출간한 역사교과서인 倍達族歷史를 대략적으로 읽고, 왜 대한민국임시정부가 倍達族歷史에서 읍루-물길-말갈-발해-여진-금의 역사를 우리민족사의 한 부분으로 설명했는지 검토해보고 오셔서 함께 토론하시기를 청함.
   3) 倍達族歷史가 필요하신 분은 자료를 미리 요청하시기 바람(자료 신청 메일 주소 : linbaishan@hanmail.net ).
   4) 202551일부터 5일까지 45일 동안 읍루-물길-말갈-발해-여진-금 등의 역사유적을 둘러보는 <2025년 국학 역사답사>에 참여하실 분은, 220일까지 참여 신청하시기 바람(답사 참여 신청 연락처 : 010-8918-1620 )

[발제자 소개]
: 국학강좌 주제인 읍루(挹婁), 물길(勿吉), 말갈(靺鞨), 발해(渤海), 여진(女眞), ()의 한국고대사 관련성에 대한 발제자는 임찬경 국학연구소 연구원.
: 임찬경은 인하대학교 연구교수, 국학연구소 연구원 등을 역임. 1990년대에 중국에 유학하여 고구려 연구로 역사학박사 학위를 취득. 고구려는 물론 우리 민족사와 깊은 관련이 있는 동호·선비·오환·거란·북옥저·읍루·물길·말갈·발해·여진 등과 관련한 북방민족의 기원과 발전 등에 깊은 관심을 갖고, 이들 지역에 대한 문헌수집과 현지답사로 연구활동을 진행해옴. 최근 우리사회의 오래고 뿌리 깊은 역사왜곡 즉 역적(역사적폐)’ 청산 작업을 준비 및 시도하고 있음.

주요 연구 논문

. 중국 東北史肅愼 認識에 대한 비판적 검토(2010)

. 女神像을 통한 紅山文化 건설 主體 批正(2011)

. 延邊長城現況性格(2012), 대종교 성지 청파호 연구(2013)

. 이병도 한사군 인식의 형성과정에 대한 비판적 검토(2014)

. 「『고려도경·삼국사기의 고구려 건국 연대와 첫 도읍 졸본(2015)

. 고구려 첫 도읍 위치 비정에 관한 검토(2016)

. 고려시대 한사군 인식에 대한 검토(2016)

. 요양 영수사벽화묘의 고구려 관련성에 관한 두 편의 논문(2017)

. 「『수경주를 통한 고구려 평양의 위치 검토(2017)

. 독립운동가의 고대사 인식 : 그 계승을 통한 한국 역사학계 적폐청산 과제와 방법(2018)

. 조선 즉 위만조선과 창해군의 위치에 관한 연구(2018)

. 영수사벽화묘의 고구려 관련성에 대한 하마다 고사쿠의 논문(2019)

. 고구려 평양 위치 왜곡과 그 극복 방안(2019)

. 대한민국임시정부 출간 배달족역사(倍達族歷史)의 대종교적 역사관(2019)

. 612년 고구려-() 전쟁에서 요수, 요동성, 압록수, 살수, 평양의 위치 비정 : 中國歷史地圖集612년 지도 비판 및 재구성(2020)

. 위만조선(衛滿朝鮮) 시기의 창해군(滄海郡)과 무제대(武帝臺) 위치 연구(2022)

. 서기49년 고구려가 한()의 우북평, 어양, 상곡, 태원을 공격한 전쟁의 실체 분석고구려 평양 위치 왜곡과 그 극복 방안(2022)

. 한국 역사학계 친일잔재 청산의 과제와 방법(2023)

. 고구려 대대로(大對盧)의 설치 시기 연구(2023)

. 1922년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역사교과서 倍達族歷史발간과 그 역사적 의미(2024)

저서 및 역서

. 중국의 고구려 학자와 연구 종합서술(2007, 공역)

. (2007년도) 중국내 고구려유적 실태조사 보고서(2008, 공저)

. 고구려의 평양과 그 여운(2017, 공저)

. 고구려와 위만조선의 경계 - 위만조선, 졸본, 평양의 위치 연구(2019)

. 국학과 민족주의(2019, 공저)

. 독립운동가가 바라본 한국 고대사 : 독립운동사학의 고대사 인식(2020)

. 한국 북방 국경의 흐름(2022, 공저)

이전글 “동호, 선비, 거란의 한국고대사 및 홍산문화 ...
다음글 다음글이 없습니다.